3. Consider the following two designs to store the data using clustered indexes in MS SQL Server:
- In the first design, the fill factor is 20% and the total number of free rows per page are A.
- In the second design, the fill factor is 40% and the total number of free rows per page are B.
Which the followings describes the relation between A and B:
클러스터 팩터(Cluster Factor)와 필 팩터(Fill Factor)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이 두 용어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인덱스를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 클러스터 팩터(Cluster Factor):
클러스터 팩터는 클러스터형 인덱스(Clustered Index)에서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클러스터형 인덱스는 테이블의 데이터 행을 정렬된 순서대로 저장하는 인덱스입니다. 클러스터 팩터는 이 인덱스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클러스터 팩터가 낮을수록 인덱스의 효율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클러스터 팩터가 1에 가까울수록 좋습니다.
클러스터 팩터는 인덱스의 리프 노드에 있는 데이터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와 관련이 있으며, 이 값이 낮을수록 데이터베이스 엔진은 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 필 팩터(Fill Factor):
필 팩터는 비클러스터형 인덱스(Non-Clustered Index)에서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비클러스터형 인덱스는 데이터 행을 정렬하지 않고 인덱스 키와 함께 해당 행의 위치 정보를 저장합니다. 필 팩터는 이러한 인덱스에서 어떻게 페이지를 채울지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필 팩터는 인덱스 페이지가 얼마나 채워질지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0부터 100까지의 백분율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필 팩터가 80%라면, 인덱스 페이지는 80%로 채워질 때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이렇게 하면 인덱스 페이지가 일정 수준 이하로 채워져 있을 때 페이지 분할 및 재구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클러스터 팩터와 필 팩터는 데이터베이스 인덱스의 성능 최적화를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각각 다른 유형의 인덱스에서 적용됩니다. 클러스터 팩터는 클러스터형 인덱스와 관련이 있고, 필 팩터는 비클러스터형 인덱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컴퓨터 과학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OLAP operation (HackerRank - Database) (0) | 2023.10.03 |
---|---|
OLAP (HackerRank - Database) (0) | 2023.10.03 |
row locators (HacerRank - Database) (0) | 2023.10.03 |
cluster index와 non-cluster index (HackerRank - DataBase) (0) | 2023.10.03 |
쿼리 실행 순서 정리! (0) | 2023.07.31 |